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현대차 죽다 살아났네” 미국 전기차 보조금 통과

이지훈 에디터 조회수  

관세 인상, 자동차 업계 변화
미국 생산 확대 속도
중국 의존 탈피 전략 추진

트럼프 차기 행정부 관세 정책
업계 변화 불가피

트럼프-관세-자동차-부품-공급망-전기차-1
GM 자동차 공장 예시 ⓒGM

트럼프 차기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방침을 예고하면서, 자동차 부품 업계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공급망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8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의 파나소닉 에너지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서 중국산 소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를 시작했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테슬라를 비롯한 여러 완성차 제조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미국 네바다주에 이어 캔자스주에도 두 번째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국산 공급망에서 독립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대놓고 중국 견제, 캐나다 멕시코까지 관세

트럼프-관세-자동차-부품-공급망-전기차-2
GM 자동차 공장 예시 ⓒGM

트럼프 차기 행정부는 전 세계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중국산 제품에 60%라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자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를 명확히 하고 있다.

트럼프-관세-자동차-부품-공급망-전기차-3
현대차 전기차 생산라인 예시 ⓒ현대차

이에 따라 자동차 업계는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조지아주에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설립, 전기차 생산을 본격화하며 올해 7,500달러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게 되었다.

이는 미국 내 생산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외국우려기업(FEOC) 규정을 충족했기 때문이다.

일부 브랜드 세액공제 제외 상품 경쟁력 악화

트럼프-관세-자동차-부품-공급망-전기차-4
아우디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예시 ⓒAudi

반면, 폭스바겐, 아우디, 리비안 등의 일부 차량은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화된 세제 정책이 시행되면 전기차 세액공제가 축소되거나 조건이 더욱 까다로워질 가능성이 높아, 자동차 업계는 탈중국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완성차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부품사들 역시 미국 현지 생산 시설 확장에 나설 전망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비한 전략적 선택으로, 앞으로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author-img
이지훈 에디터
fv_editor02@passcanewslab.com

[신차 뉴스] 공감 뉴스

  • 현대차그룹-미국시장-글로벌판매량-폭스바겐-전기차-2
    "예비오너들 선호, 결국 증명" 싼타페·EV3 요즘 잘 나가는 상황
  • 현대차-디자인-아이오닉5-콘셉트카-신차-양산차-9
    "북한의 2배 규모" 현대차, 역대급 신차 물량 쏟아낸다
  • G80-블랙-제네시스-가격-2025-연식변경-신차-신차뉴스-thumb
    "8천짜리 E클래스 값" 제네시스 G80, 올 블랙 버전 나왔다
  • BMW-CES-2025-파노라믹-iDrive-운영체제-X-헤드업-디스플레이-2
    "진짜 잘 만드네" BMW, 앞으로 신차에 적용할 '이것' 공개
  • 아이오닉-5-기네스북-전기차-극한-주행-기술력-4
    "현대차, 싹쓸이 가능?" 북미 시장 역대급 실적, '이차' 가장 많이 샀다
  • 봉고-스마트-셀렉션-기아-LPG-터보-EV-모델-2
    "기아, 가성비 미쳤네" 갑자기 옵션 퍼주기 시작, 1톤 봉고 당장 계약!

당신을 위한 인기글

당신을 위한 인기글

공유하기

0